과학에는 귀납적인 방법과 연역적인 방법이 있으며 둘 다 유효한 수단입니다.
즉, 경험(실험)에 의해 도출된 이론(귀납)이나, 이론으로부터 결론은 유도하는 것(연역) 모두 과학적 결과입니다.
물론 그 과정이 바르게 진행되았다는 전제 하에서죠.

그리고 종종 과학을 어떤 하나의 결과물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글 쓰신 분도 포함해서)
과학이란 방법론이지 결과물이 아닙니다.
과학적 방법을 거쳐서 나온 결과물이 과학적인 것이지 어떤 고정된 실체로서의 과학이란 존재하지 않죠.

그리고 과학은 끊임없는 자기부정과 의심을 거쳐 진화합니다.
그래서 어제까지 과학적인 진실(?)이라고 믿어지던 것이 오늘 새로운 이론이나 실험결과가 확인되면
내일부터는 비과학적인 것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글 쓰신 분께선 자신있게 의학을 과학이라고 확신하고 계신데
의학은 연역법보다는 귀납법에 아주 많이 기대고 있는 과학적 응용사례의 하나일 뿐입니다.
(즉, 의학=과학 이게 아닙니다. 의학=과학적방법을 거쳐나온 결과물 이게 정확하죠.)
분자생물학, 기초의학쪽에서는 보다 연역적인 방법들을 쓰고있죠.

그럼 한의학이 과학일까요? 아닐까요?

한의학은 귀납적으로 만들어진 이론을 가지고 만들어진 치료법에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즉, 경험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이론으로 다시 실제에 적용한 것이란 거죠.
물론 그 결과물인 치료법도 여러세대를 거치면서 실험적으로 검증이 되었을 것입니다.
(몰론 요즘 하는 것처럼 엄격하게 통제된 상황에서 한 실험은 아니지만,
또 반대로 그 실험기간과 실험의 횟수로만 따진다면 요즘의 실험이 도저히 따라가기
어렵다고도 할 수 있겟죠.)
그러므로 한의학도 과학적 방법의 결과라고 볼 수 있겠지요.

다만, 지금 문제가 되는 것은 과거 어느시점에서부터 한의학적 방법들이
발전을 멈추었다는, 또는 그렇게 보인다는 것입니다.
즉, 과학에서 강조하는 자기의심의 과정이 멈추었다는 것인데
이건 최근의 새로운 한의학자들(기초) 및 한의학에 관심을 가진 서양의학자들에 의해
많은 새로운 연구가 이루어지고있으니 앞으로 다시 발전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정리하자면 한의학은 발전이 정체된 과학적 결과물(치료법 체계)라고 볼 수 있겠죠.

서양의학도 예전 의학 발전사를 보면 황당무계한 치료법이 수도 없이 많았죠.
두통을 없애려면 두개골에 구멍을 뚫으면 된다는 등의...
잘못된 치료법으로 고통을 주고 다치게한 환자도 수없이 많았고...
만약에 또 수십,수백년이 지난다면
지금 현재의 치료법을 가지고도 미래의 사람들은 원시적이고 무식한 치료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아마 틀림없이 그렇게 될 듯...)
과학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가 부족한 사람들은 20세기말 21세기초에는 비과학적인 방법으로 치료를 했다고
주장할 것입니다.(글 쓰신 분처럼)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현재에 보기에 서양의학은 과학적인 방법으로 발전하고있고
현재에 가장 과학적인 치료법들입니다.

한의학도 마찬가지입니다.
귀납법을 과학적인 방법론의하나로 인정한다면
한의학도 과학적으로 도출된 치료법임이 분명합니다.
다만 조선조 이래로 발전이 정체되고있을 뿐.

그리고 상대방을 비판하는 많은 분들이 자신이 겪은 사례들을 가지고 상대방을 비판하시는데
그것도 과학적이 되려면 정확한 통계수치를 가지고 비판하셔야지
내가 겪어본 사례들 몇가지를 보니 저것은 전부 다 사기라고 주장하신다면
이 또한 비과학적인 결론이 됩니다.(지나친 일반화의 오류)
귀납법도 지켜야할 규칙이있죠.

양의사도 한의사도 정직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거짓을 일삼는 사람도 있고,
실력있는 좋은 의사가 있는가 하면 실력이 떨어지는 의사도 있는 법입니다.
몇가지 사례로 전체를 매도해선 안 되겠죠.

아, 그리고 한의학이 연역적이라고 생각하시는데
역사상 대부분의 의학은 귀납적으로 발전했다고 봐야합니다.
한의학이 중세 서양의학에 비해 정교한 이론적인 체계를 갖추고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해서 한의학의 처방들이 전부 연역적으로 도출된 것이라고 보긴 어렵죠.
전부는 아니라도 많은 처방은 긴 시간에 걸친 경험의 결과가 축적되었다고 봐야합니다.
특히 종교에 비유한 부분은 좀 지나친 것 같네요.

서양의학도 기초분야에서 연역적인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또 치료의 선택등에 있어 철학등과 결합될 여지도 많습니다.
실재로 그런 연구도 있는 것 같구요.

정작 서양의학이 발명된 곳에서는 열린마음을 가지고 계속 새로운 영역과 방법을 과학적으로 찾아나서는데
그걸 받아들인 우리나라에서는 서양의학이 종교처럼 떠받들어지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과학은 방법이지 결과가 아닙니다.

'소선재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무현의 한길 사람 속  (0) 2008.03.22
5년의 세월  (0) 2008.02.22
검소에 대하여-도덕경을 보고  (0) 2008.01.30
상관형 인간  (0) 2008.01.29
나의 문제  (0) 2008.01.27
Posted by 일호 김태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