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구초심

소선재에서 2012. 2. 19. 13:10

아무리 돈 많이 벌고 살아도 마음이 편치 않은 곳이 있는 법이다.

http://news.hankyung.com/201202/2012021604397.html?ch=news

'소선재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反面敎師  (0) 2012.02.19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0) 2012.02.19
인생은 해소중  (0) 2012.01.25
BK의 인간승리  (0) 2012.01.19
안드로이드는 왜 1월 1일 해맞이를 가는가?  (0) 2012.01.03
Posted by 일호 김태경
,

외국에 나와 산지도 만 7년이 다 되어간다. 7년이라는 시간은, 짧다면 짧지만, 길다면..... 길었던 시간이다.

많은 경우 시간이 답이 되는 경우가 많다. 많은 경우, 그렇다.

초등학교때 했던 걱정과 고민과 불안들은 어른이 되면 없어진다. 그것은, 초등학교때의 걱정과 고민과 불안이 해결이 된 것이 아니고, 어른이 되면서 그냥 소멸하는 것이다, 라고 오쇼가 말했던 것 같다.

그러니까, 문제들은 답으로 해결이 되는 것이 아니라, 소멸로서 해소가 되는 것이다, 라고 나는 이해를 한다.

신부가 강론중에 신자들에게 물었다.

"나는 지금 그 누구도 미워하지 않고 살고 있다, 하시는 분 계신 가요?"

나이가 아주 많은 할아버지가 조심스럽게 손을 들고 말했다.

"나도 옛날엔 미워하는 사람 많았어요."

사람들은 한 평생을 거쳐온 노인의 지혜를 기대했다.
"나도 젊을때는 미워하는 사람이 많았어요. 그런데 내 나이가 아흔 둘이 되니까, 걔들이 다 죽었어..!! 다 먼저 죽어서 지금 미워할 사람이 없어."

컬투쇼에 나온 독자사연을 강가님으로부터 전해 들었다.

역시, 시간이, 답이다. 문제는 해결이 아니라, 해소되는 법이다.

7년을 외국에서 지내면서, 먹는 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았다.

어제도 고민이었다. 오늘 저녁반찬은 무얼하나?

냉장고문을 몇번씩 열었다 닫았다해도 마땅한 반찬거리가 생각나지 않았다.

결국 국수를 삶았다. 7년을 부엌일을 해도, 아직도 손은 느리다.

고추장에 식초와 설탕을 넣고 비빔장을 만들고, 곯아가는 양상치를 씼어서 썰고, 물이 너무 많은 레바니스 오이를 반을 잘라 채썰고, 풋고추도 하나 썰었다.

아이둘에게는 매운 국수가 버거우니, 간장에 참기름을 뿌려주었다. 큰 아이는 미식가답게 국물을 넣은 국수를 원했다. 오뚜기 국시장국 멸치맛을 끓여줘야했다. 잔치국수에는 파가 들어가야 한다. 파를 썰었다. 아~ 김도 구워야 한다. 허기가 심해져서 손에는 점점 힘이 빠져간다. 눈치빠른 아내가 김을 구웠다.

큰 아이에게 국물을 부워주고 나서야, 계란 지단이 빠졌다는 걸 알았다. 계란지단없이 잔치국수를 먹다니, 역시 난 해탈한 것이 틀림없다, 라고 생각했다.

외국생활 7년째. 아직 먹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하지만, 해소되어 가는 중이다,라는 생각이다. 그래서, 이젠 더 이상 설겆이할때 그릇을 집어던지지 않는다. 그릇을 집어던지고 싶어지면 설겆이를 그만한다. 아내는 그 설겆이를 이어서 한다.

인생의 많은 문제는 해소되어가는 중이라 생각한다. 해소되어 가고 있는데, 굳이 해결할 필요는, 없다, 라는 생각이다.

어쨌거나, 오늘 저녁은 또 무얼 해 먹나?
 

'소선재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0) 2012.02.19
수구초심  (0) 2012.02.19
BK의 인간승리  (0) 2012.01.19
안드로이드는 왜 1월 1일 해맞이를 가는가?  (0) 2012.01.03
우리는 왜 해돋이를 가는가?  (0) 2012.01.01
Posted by 일호 김태경
,

BK의 인간승리

소선재에서 2012. 1. 19. 11:23
BK의 인간승리

|
조회 22 |추천 0 | 2011.10.26. 13:25 http://cafe.daum.net/........................../71eI/1691


인간승리라 하면, 대개,

 

1. 실력좋은 놈이 있다.
2. 잘 나가다가 좌절한다.
3. 불운을 딛고 재기에 성공한다.

 

요런 공식이다. 소위 아키타입이라 하는 신화가 그렇고, 모든 이야기가 그렇고, 모든 드라마가 그렇고, 모든 영화가 그렇다. 왜 그럴까? 왜 그렇긴 있어 보이잖아. ㅋㅋㅋㅋㅋ

 

그런데, 여기서 '야매'는 바로 재기. 사람들은 재기를 해야 인간승리인줄 안다. 하지만, 굳이 스티브 잡스처럼 재기에 성공하지 않아도 인간은 승리할 수 있다.

 

여기 인간승리의 표본이 하나 더 있다.

 

김병현. 비케이 킴. 메이져 리그의 언히터블 피처. 마구 제조기.

 

세계최고였던 20대를 뒤로 하고 이젠 후보로 벤치나 지키는 신세.

 

하지만, 그는 지금에서야 진정한 인간승리의 길로 접어들었다. 굳이 재기하지 않아도 그는 행복이라는 길로 들어섰다. 이건 다 마누라 덕분이다.

 

김병현, 빨랑 면사포씌워주고 엎드려서 절해라.

 

야구선수 비케이 킴의 진정한 승리. 나는 너의 팬이다. 땡큐.


 

1. 라쿠텐 김병현 인터뷰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issue&mod=read&issue_id=531&issue_item_id=7195&office_id=380&article_id=0000000074

 

 

2. 이치로가 얘기하는 김병현투수

http://bbs1.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105/read?bbsId=G001&articleId=1895470&itemId=10135

 

http://mlbpark.donga.com/bbs/view.php?bbs=mpark_bbs_bullpen09&idx=661494

 

3. 눈감고는 못보는 김병현의 엄청난 마구

http://blog.naver.com/west22/150088807537

 

http://sports.media.daum.net/worldbaseball/news/mlb/breaking/view.html?rMode=view&allComment=T&commentId=104363193&cateid=1071&newsid=20111021163404722&p=poctan

 

'소선재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구초심  (0) 2012.02.19
인생은 해소중  (0) 2012.01.25
안드로이드는 왜 1월 1일 해맞이를 가는가?  (0) 2012.01.03
우리는 왜 해돋이를 가는가?  (0) 2012.01.01
안철수의 시대(2)  (0) 2011.12.23
Posted by 일호 김태경
,

또 새해를 맞는다. 바깥에서 보는 한국의 새해맞이 풍경은 조금은 유난스럽다. 해돋이를 보려는 해맞이 인파가 그것이다.

12월 31일 자정이 되기 전 서울의 종로거리나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앞이나 똑같이 카운트다운이 시작된다. 1월 1일이 되는 순간 시드니의 하버브릿지에서는 요란한 불꽃놀이가 시작되며 새해를 축하한다. 같은 시간 한국에서는 보신각의 종이 서른 세번 울린다. 이 보신각의 종소리는 결코 새해를 맞는 것이 아니다. 묵은 해를 보내는 제야의 타종이다. 1월1일 0시가 되면 새해를 맞이하지 않고 묵은 해를 보내는 종을 친다. 그렇다면, 새해는 언제 맞이하는 것일까?
 
한국의 새해는 1월 1일 영시가 아니라 아침시간, 즉 일출과 함께 시작한다. 한국의 새해는 해가 떠야 비로소 새해이다. 방송국의 카메라는 말할 것도 없고, 많은 사람들은 뜨는 해를 보러 바다로 산으로 급기야는 교통정체에 도로 위에서 새해를 맞게 된다. 해가 뜨지 않으면 그것은 새해가 아니고, 아침이 아니면 그것은 새날의 시작이 아니다. 자정이 넘어가면 새로운 날이 되고, 12월 31일이 끝나면 바로 새해가 되는 서양과는 다르다. 미묘하나, 분명히 다르다.
 
이렇게 설명하는 역사학자가 있다(출처는 김대근씨이다). 우랄산맥 근처 알타이지역에 태양을 숭배하는 무리가 있었다. 떠오르는 태양을 쫓아 동쪽으로 동쪽으로 이주하여 한반도에 정착했다. 나라 이름을 아침해가 선명하다해서 조선이라 했다. 우리가 고조선이라 부르는 그 조선이다. 한반도에 정착한 사람들 중 일부는 또 동쪽으로 일본열도로 갔다. 해의 근본이라 일본이라 했다. 삼족오는 그들의 상징이었다.
 
대학시절 엠티를 가서는 밤새 술이 떡이 되도록 마시고 다음날 새벽 일출을 보러 꾸역꾸역 기어나가는 이들이 있었음을 기억한다. 산에 올라가도, 나 역시 그랬듯이, 특별한 날이 아님에도 일출을 보러 꼭두새벽부터 천황봉으로 대청봉으로 기어오르는 이들이 아직도 많음을 알고 있다. 한국의 지명, 성산의 일출봉이나 여수의 향일암이나 포항의 영일만이나 하다 못해 이름없는 동해 바다 어디를 가도 아침잠을 줄여 일출을 봐야만 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고 많음을 나는 알고 있다.
 
과문한 탓인지, 한국사람이 아닌 사람들이 이렇게 일출을 집단적으로 즐긴다는 얘기는 들어보지 못하였다. 호주의 시드니는 전 세계 사람들이 모여사는 곳이다. 아침잠을 설치며 낚시를 가고 골프장에 가는 사람은 봤어도 일부러 일출을 보러 간다는 사람은 아직 만나 보지 못했다.
 
1월 1일 일출을 보러 어둠속에 길을 나서는 사람들에게 왜 일출을 보러 가는지 묻는다 치자. 여러분들도 한번 자문해보자. 답변은 아마도 옹색할 것이다. 누군가의 답은, '한민족은 태양의 후손이요, 태양의 기상을 타고 났소'가 될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파라오의 후손인 이집트사람들과 우리는 배다른 형제가 되는 것인가? 그나마 말이 되는 답은 '새해의 첫날이니까'가 될 것이다. 우리는 새해가 되었으니 해맞이를 하러가는 것이다. 자, 그렇다면 또 묻겠다. 왜 새해의 첫날에 해맞이를 해야하는가? 이 질문에는 답이 없다. 답이 있을 수가 없다.

우리가 하는 많은, 거의 모든 행동에는 사실 이유가 없다. 그것이 포유류 영장목에 속하는 호모 사피엔스의 본능에 따르는 것이든, 아니면 집단의 전통과 문화에 의해 무의식에 저장된 채로 행하는 의식이든, 사실은 내가 하는 것이 내가 하는 것이 아니며, 내가 하는 생각이 사실은 내가 하는 생각이 아닌 것이다.

호주를 후진국이라 생각하는 나의 어머니는 호주에 와서 딱 하나 하고 싶은게 있으셨다. 그것은 해돋이를 보러가는 것. 나는 늦잠꾸러기라 한번도 해돋이를 보여드린 적이 없다. 나의 아이들은 1월 1일에 해돋이를 보러 갈 것인가? 한국에서 자라면 그리 될 것이고, 한국이 아닌 곳에서 살면 그리 되지 않을 것이다. 내가 하는 말과 생각과 행위가 사실은 내가 하는 게 아니라는 것. 이것이 붓다의 연기법이고, 제법에 무아가 아닐까. 깨달음이 있다면 이것이 깨달음이다.

'소선재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은 해소중  (0) 2012.01.25
BK의 인간승리  (0) 2012.01.19
우리는 왜 해돋이를 가는가?  (0) 2012.01.01
안철수의 시대(2)  (0) 2011.12.23
안철수의 시대 (1)  (0) 2011.12.23
Posted by 일호 김태경
,
또 다시 새해이다. 이번엔 2011년이 묵은 해가 되고 2012년이 새해가 된다. 이방인으로서 느끼는 낯설은 모습은 신년맞이에도 예외가 아니다.
 
12월 31일 자정이 되기 전 서울의 종로거리나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앞이나 똑같이 카운트다운이 시작된다. 1월 1일이 되는 순간 시드니의 하버브릿지에서는 요란한 불꽃놀이가 시작되며 새해를 축하한다. 같은 시간 한국의 풍경은 조금 다르다. 보신각의 종소리는 묵은 해를 보내는 제야의 종소리이다. 같은 시간에 서구에서는 새해를 맞이하는 축포가 퍼지고, 한국에서는 지난 해를 떠나보내는 종소리가 퍼진다. 한국에서는 먼저 묵은 해를 보낸다고? 그렇다면, 새해는 언제 맞이하는가?
 
한국의 새해는 1월 1일 영시가 아니라 새벽시간, 일출과 함께 시작한다. 한국의 새해는 해가 떠야 비로소 새해이다. 방송국의 카메라는 말할 것도 없고, 많은 사람들은 뜨는 해를 보러 바다로 산으로 급기야는 교통정체에 도로 위에서 새해를 맞게 된다. 해가 뜨지 않으면 그것은 새해가 아니고, 아침이 아니면 그것은 새날의 시작이 아니다. 자정, 미드나잇이 넘어가면 새로운 날이 되고, 12월 31일이 끝나면 바로 새해가 되는 서양과는 다르다. 미묘하나, 분명히 다르다.
 
혹자는 이리 말한다. 우랄산맥 근처 알타이지역에 태양을 숭배하는 무리가 있었다. 떠오르는 태양을 쫓아 동쪽으로 동쪽으로 이주하여 한반도에 정착했다. 나라 이름을 아침해가 선명하다해서 조선이라 했다. 우리가 고조선이라 부르는 그 조선이다. 한반도에 정착한 사람들 중 일부는 또 동쪽으로 일본열도로 갔다. 해의 근본이라 일본이라 했다. 삼족오는 그들의 상징이었다.
 
나는 한국에 있을때, 엠티를 가서는 밤새 술이 떡이 되도록 마시고 다음날 새벽 일출을 보러 꾸역꾸역 기어나가는 이들이 있었음을 기억한다. 산에 올라가도, 나또한 그랬듯이, 특별한 날이 아님에도 일출을 보러 꼭두새벽부터 헤드렌턴을 켜고 천황봉으로 대청봉으로 기어오르는 이들이 아직도 많음을 알고 있다. 한국의 지명, 성산의 일출봉이나 여수의 향일암이나 하다 못해 동해 바다 어디를 가도 아침잠을 줄여 일출을 봐야만 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쎄고 쌨음을 나는 알고 있다.
 
한편, 여기 사람들과 별 교류가 없는 탓인지 몰라도 호주인들이 일출을 즐긴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다. 시드니에는 전 세계 사람들이 모여사는 곳이다. 아침잠을 설치며 낚시를 가고 골프장에 가는 사람은 봤어도 해돋이를 일부러 보러 간다는 사람은 아직 보지 못했다.
 
그래서 나는 동포들에게 묻고 싶다.
 
"왜? 왜? 해를 맞으러 가는 것입니까?"
 
누군가는 답할 것이다. '한민족은 태양의 후손이요, 태양의 기상을 타고 났소' 그렇다면 파라오의 후손인 이집트사람들과 우리는 배다른 형제가 되는 것인가? 누군가는 답할 것이다. 일출의 기를 받으면 여러모로 좋대요. 아~ 그래서 밤을 새서 술마시는 것일지도.
 
나는 생각한다. 해돋이를 보러 가는 건 이유가 없다고. 해돋이를 보러 가는 건 옆집 철수가 가기때문이고 옆집 철수가 가는 건 그 할아버지 할머니가 그랬기 때문이고, 그 할아버지 할머니는 그 할아버지 할머니의 할아버지의 할머니의......
 
호주를 후진국이라 생각하는 나의 어머니는 호주에 와서 딱 하나 하고 싶은게 있으셨다. 그것은 해돋이를 보러가는 것. 나는 늦잠꾸러기라 한번도 해돋이를 보여드린 적이 없다. 나의 아이들은 해돋이를 보러 갈 것인가? 한국에 살면 그리 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당연하다 생각할 것이다. 왜냐하면 모두가 해돋이를 보러 가니 말이다. 그것이 바로 몇천년동안 변하지 않은, 해돋이를 가는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소선재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K의 인간승리  (0) 2012.01.19
안드로이드는 왜 1월 1일 해맞이를 가는가?  (0) 2012.01.03
안철수의 시대(2)  (0) 2011.12.23
안철수의 시대 (1)  (0) 2011.12.23
교만은 나의 병  (0) 2011.11.28
Posted by 일호 김태경
,